종합 > 라이프
국립현대미술관, 거장의 창작 비하인드 대방출
![culture1.jpg](http://img.imagepola.com/20250207/cd5a87e281148ed2253000ce3d3bb019143732028.jpg)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이번 프로그램은 예술가들이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도전과 혁신의 순간을 담은 작품들로 구성됐다”며 기획 배경을 설명했다.
첫 번째 상영작은 앙리-조르주 클루조 감독의 ‘피카소의 비밀’(1956)이다. 이 작품은 거장 파블로 피카소가 캔버스 위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현해 나가는 과정을 밀착 조명한 다큐멘터리로, 1956년 칸영화제에서 특별심사위원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어 핀란드 건축계의 거장 알바 알토와 그의 아내이자 동료 건축가인 아이노 알토의 창작 과정을 탐구하는 다큐멘터리 ‘알토’(2020), 폴란드 아방가르드 미술의 선구자 스트르제민스키와 그의 제자들의 관계를 조명한 안드레이 바이다 감독의 유작 ‘애프터이미지’(2016)도 상영된다. 또한 독일 현대미술 거장 안젤름 키퍼의 작업실을 배경으로 그의 예술적 근원을 탐구한 3D 영화 빔 벤더스 감독의 ‘안젤름’(2023)도 관객과 만난다.
![culture2.jpg](http://img.imagepola.com/20250207/aed98041d7e96e2529f54dd7b51ad082406051875.jpg)
무용과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창작의 순간을 포착한 작품들도 준비되어 있다. 샹탈 아커만 감독의 ‘어느 날 피나가 말하길...’(1983)은 독일 표현주의 무용가 피나 바우쉬와 그녀의 무용단 부퍼탈을 기록한 작품으로, 현대 무용의 새로운 장을 연 피나 바우쉬의 예술 세계를 깊이 있게 조명한다. 또한 2022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아니 에르노가 아들과 함께 제작한 ‘수퍼 에이트 시절’(2022)은 1972년부터 1981년 사이 촬영된 홈 비디오 영상을 재구성한 작품으로, 한 개인의 기억과 시대적 흐름을 담아낸다.
음악을 주제로 한 작품들도 눈길을 끈다. 리사 로브너 감독의 ‘일렉트로니카 퀸즈: 전자 음악의 여성 선구자들’(2020)은 오늘날 우리가 음악을 만들고 소비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꾼 여성 작곡가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또한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삶과 예술 세계를 조명한 어맨다 킴 감독의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2023)도 상영 라인업에 포함됐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단순한 영화 상영을 넘어 창작의 과정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계 강연과 대담이 진행된다. 영화학자 이윤영(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건축가 박희찬(스튜디오 히치 디렉터), 헤레디움 함선재 관장, 신유진 작가, 어맨다 킴 감독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영화 속 창작 과정과 시대적 맥락을 탐구하는 ‘스크리닝 & 토크’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상영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들이 예술가들의 작업실을 들여다보며 창작의 순간을 체험하는 특별한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영화와 대담을 통해 예술과 창작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길 바란다”고 밝혔다.
‘창작의 순간-예술가의 작업실’ 프로그램의 자세한 일정과 예매 방법은 국립현대미술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