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월드
관세 폭탄 맞은 아마존.."가격 폭등 불가피"

미국 CNBC 방송은 최근 아마존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70%가 중국에서 생산되는 상황에서, 아마존의 판매자들이 가격 인상과 수입 비용 증가에 대한 고민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웨드부시 분석에 따르면, 많은 아마존 판매자들이 가격을 올릴지, 아니면 증가한 비용을 부담할지 고민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이미 일부 아마존 판매자는 가격 인상을 시작했다. 예를 들어, ‘보그백 컴퍼니’는 90달러에 판매하던 가방의 가격을 95달러로 인상했으며, ‘헤이븐리’는 가구 제품에 7.5%의 수입 수수료를 추가했다. 이러한 가격 인상은 제품을 판매하는 상인들에게는 불가피한 선택이지만,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와 함께 유통 업계에서는 중국을 기반으로 제조한 제품을 판매하는 상인들이 사실상 사업을 접어야 할 위기에 처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관세 전쟁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이들 상인들이 다른 국가로 생산을 전환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 중국에서 제조하는 비용의 두 배 이상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에서 제조된 제품을 미국에서 판매하는 많은 상인들은 이미 철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선전 국경간 전자상거래 협회’ 왕신 회장은 미국 시장에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쉬인과 테무와 같은 초저가 중국산 쇼핑앱도 이번 무역전쟁의 영향을 피해가지 못하고 있다. 이들 앱은 원래 800달러 이하의 물품에 대해 면세 혜택을 받아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해왔지만, 미국 정부가 이 제도를 폐지할 예정이어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5월 2일부터 800달러 미만의 소포에도 30%의 관세 또는 25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또한, 800달러 이상의 소포에는 14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된다. 이로 인해 인기의 비결이었던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진 것이다.
특히, 쉬인과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주요 제조 기반이 있는 중국 광둥 지역은 실직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쉬인 빌리지’에는 많은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들이 밀집해 있으며, 이곳의 한 청바지 제조업체 직원은 “수출이 불가능해지면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고 걱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중국 내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근로자들이 경제적 불안정성에 직면해 있다.
아마존 역시 이 상황에서 예외가 아니다. 아마존 CEO 앤디 재시는 최근 인터뷰에서 “아마존 상인들은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지고, 이는 아마존의 전체적인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아마존의 연간 매출 중 약 23%는 입점 상인들의 판매수수료에서 발생하며, 38%는 자체 재고를 판매하여 얻는 수익이다. 구글이나 메타와 달리 아마존은 광고와 클라우드 부문 외에도 유통업체 상인들의 판매에 의존하고 있어, 상인들이 어려움을 겪을수록 아마존의 매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중 무역전쟁은 단지 중국과 미국 간의 경제적 갈등을 넘어,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의 구조와 운영 방식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중국산 제품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은 고율의 관세와 수수료로 인해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향후 전 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의 판도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